‘경산 인지재’, ‘경산 우경재’, ‘경산중방농악’ 학술적・역사적 중요한
의미를 가져 경산시 향토문화유산 제1・2・3호로 지정
【경산=권성옥 기자】시는 역사적・학술적・예술적・경관적 가치가 높은 지역의 비지정 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하기 위해 2019년 『경산시 향토문화유산보호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여, 지난해 12월 향토문화유산보호위원회를 열어 3건에 대해 지정 의결하고 지정예고 후 지정을 고시했다.
경산시 향토문화유산 제1호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산 인지재』는 자인면 원당리에 위치하고 있다.
인지재는 임진왜란 당시 자인지역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성재 최문병 강학소로 건립되었고, 의병창의에 활용된 건물이다. 최문병 의병장이 타계한 이후 18세기 초에 현 위치로 이건해 용계서원이 훼철된 뒤 1986년에 복원하기 전까지 사우로 사용되어 지역 의병사에 중요한 인물 및 장소성을 가진 역사적 건물로 평가된다.
경산시 향토문화유산 제2호로 향토기념물로 지정된 『경산 우경재』는 초계 정씨의 집성촌에 1914년 건립되었다. 우경재는 문중재실과 학업장소로 사용하던 건물로 그 구성은 소박하게 꾸몄으나, 전면에 누를 두거나 측면에 난간을 둔 쪽마루를 두어 격식을 높이려고 했다. 그리고 재실건물에서 전면에 누마루를 두는 것은 경북 남부지역에서는 흔하지 않는 모습이고, 일제강점기에 제사 설명 놀이판인 <습례국>을 고안한 탁와 정기연이 후학을 양성하고 저술활동을 한 장소로서의 의미도 높다.
경산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로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산중방농악』은 대체로 경산 중방동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마을제사인 당제 때 치는 농악, 지신밟기, 그리고 여름에 세벌논매기 이후 농민들이 모여 놀던 ‘풋굿’ 등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오늘날까지 보존회를 통해 중방농악을 재현하고, 많은 경산 시민들이 회원들로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전승하고 있고 이번에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우리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산 인지재를 포함한 3건의 문화유산은 모두 역사적으로나 학술적으로 우수한 문화유산이다. 이들 향토문화유산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 속에 체계적으로 관리 보존하면서, 앞으로도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지역의 문화유산을 찾아 지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경산시는 지난해에 영남대 중앙도서관의 불경해석서인 『천노금강경』 등 3건의 도지정문화재 신청과 등록문화재로 개인소장 『순국의사 이육사의 친필휘호 수부선행(水浮船行)』・대구대 점자출판박물관의 『R.S.Hall의 맹소녀 오봉래 초학언문 점자교재』등 2건에 대해 등록 절차를 밟고 있어 현재 43건의 지정(등록)문화재를 보유한 상태에서 추가 지정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한청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성옥 기자 다른기사보기